2025년 QHD 게이밍 노트북 추천: 레노버 리전 프로5 16IAX 완벽 리뷰
안녕하세요! 게이밍 노트북을 찾고 계신가요? 아직도 노트북으로 게임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시나요?
요즘 노트북 커뮤니티에서 가장 핫한 GPU가 바로 RTX 5070 Ti인데요.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가격과 전력 대비 가장 좋은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GPU이기 때문이죠.
오늘은 그 핫한 RTX 5070 Ti의 성능을 가장 잘 뽑아내주는 궁극의 게이밍 노트북, 레노버 리전 프로5 16IAX10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레노버 리전 프로5 16IAX |
왜 레노버 리전 프로5를 선택해야 할까요?
사실 리전 5 시리즈는 지난 몇 년 동안 크게 모난 곳 없이 두루두루 쓰기 좋은 가성비 포지션이었거든요. 그래서 이런 최신 하드웨어의 성능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하기에 가장 좋은 노트북이 아닐까 싶어요.
심지어 올해는 CPU, GPU 모두 세대 교체가 됐기 때문에 할 얘기가 정말 많습니다!
리전 시리즈 라인업 정리
레노버 게이밍 노트북은 LOQ → 리전5 → 리전7 → 리전9 순서로 고급형인데요. 여기에 '프로'가 붙으면 휴대성보다는 성능을 확실하게 챙기는 모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러니까 리전 프로5는 중간 등급인 5 시리즈 중에서 성능 지향형 제품이라는 거죠!
레노버 리전 프로5 16IAX10 주요 스펙
핵심 하드웨어
- CPU: 인텔 코어 울트라 9 275HX
- GPU: RTX 5070 Ti
- 메모리: 32GB 듀얼 채널 (탈착 가능)
- 저장장치: 1TB SSD + M.2 슬롯 1개 추가
- 무게: 2.42kg (16인치 노트북 중 묵직한 편)
무거운 만큼 쿨링이나 발열, 소음은 확실하게 잡아주는 컨셉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가격대
대략 300만원에서 왔다 갔다 하는데요. 금액만 놓고 보면 절대 싼 가격은 아니지만, 요즘 고사양 노트북 시세가 이 정도긴 하더라고요.
중요한 포인트: RTX 5070 Ti가 쿨링이 좋은 노트북에서는 거의 RTX 5080급 성능이 나온다는 얘기가 많거든요. 그게 진짜라면 400만원이 넘어가는 RTX 5080 노트북을 사느니 얘처럼 RTX 5070 Ti에 쿨링이 좋은 노트북을 사는 게 더 개이득이잖아요!
디자인 & 빌드 퀄리티
외관 디자인
전형적인 레노버 리전 프로 5의 모습입니다. 게이밍 노트북 치고 차분한 색감에 엉덩이가 툭 튀어나와 있는 리전 프로 5는 거의 디자인이 항상 이런 느낌이었죠.
이번에는 색상도 거의 검은색에 가까운 알루미늄 하우징이고요. 달라진 점이라면 상판 테두리에 있던 리전 로고를 정중앙으로 옮겨 놓기는 했는데, 그래도 흑경 느낌의 검정 로고라서 일반 사무실에서 써도 크게 위화감이 없을 정도로 얌전한 디자인입니다.
재질과 마감
- 상판: 알루미늄
- 하판: 플라스틱
저렴한 느낌은 아니고 상하판 모두 탄탄하고 마감이 매끄럽습니다. 다만 상판 알루미늄이 검은색이라서 그런지 지문은 좀 잘 묻는 편이더라고요.
디스플레이 개방각도
180도까지 개방이 되기 때문에 텐트모드로 사용할 때 거치대 제약이 없다는 게 리전 시리즈의 큰 장점 중 하나입니다.
포트 구성의 획기적 변화
올해 가장 눈에 띄는 변화 중 하나가 포트 배치인데요. 원래는 힌지 뒤 엉덩이 쪽에 충전 단자나 HDMI 같은 포트들이 있었는데, 올해는 이 부분이 전부 히트싱크와 통풍구로 바뀌면서 포트가 모두 측면으로 위치가 변경됐습니다.
포트 구성
- USB-A: 3개
- USB-C: 2개 (그 중 한 개는 썬더볼트 4)
- HDMI: 2.1 규격
- 유선 랜포트: 있음
사용하기 불편한 점은 없어 보입니다. 굳이 아쉬운 점이라면 썬더볼트 5가 아니라는 거 정도네요.
키보드 & 트랙패드: 가성비 게이밍 노트북의 진가
리전 프로 5 시리즈가 예전부터 가성비 게이밍 노트북이라는 소리를 듣는 큰 이유 중 하나가 키보드나 트랙패드, 스피커 같은 요소들을 평균 이상으로 맞춰준다는 점이었는데요.
키보드 특징
- 게이밍 노트북에 달려있는 것 치고는 구분감 좋음
- 키캡도 큼직한 정석적인 배열
- 전원 버튼 위에 따로 분리
- 풀 사이즈 방향키 + 4열 넘버패드
- 무한 동시 입력 지원
소소한 디테일: 리전 마크가 아크 리액터 같은 원형 모양이잖아요. 그래서 알파벳 "O"도 이 아크 리액터 모양으로 각인이 되어 있어요!
성능 모드 확인 기능
전원 버튼도 같은 모양으로 전원을 켜면 여기에 조명이 들어오는데요. 이 전원 버튼 색상으로 성능 모드를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Fn+Q를 누르면 바로바로 성능 모드가 변경되는데, 빨리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도 좋지만 지금 상태가 어떤 성능 모드 상태인지 바로바로 알 수가 있는 것도 되게 편하더라고요.
RGB 백라이트 설정
백라이트도 RGB로 들어가 있는데요. 디테일하게 설정하고 싶으신 분은 기본 레노버 벤티지 앱 말고 Legion Space라는 앱을 설치하셔야 한다는 점 참고해주세요.
트랙패드
그냥 평범한 다이빙 보드 클릭 방식이라 클릭 소음은 살짝 있는 편입니다. 그래도 트래킹 정확도나 감도, 팜 리젝션 같은 기본 기능은 다 좋더라고요.
디스플레이: 게임과 작업 모두 완벽
16인치 2.5K 해상도 삼성 OLED 패널이 달려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스펙
- 최대 밝기: 500니트
- 주사율: 240Hz
- 색재현율: P3 100%
- G-SYNC 기능 탑재
- HDR 트루 블랙 1000 지원
어디 하나 빠지는 요소 없는 패널이라서 게임이나 크리에이터 작업 어떤 용도로 써도 좋습니다.
주의사항: 화면 반사가 있는 글레어 패널이라는 점은 호불호 요소가 될 수 있는데요. 최대 밝기가 밝은 편이기 때문에 불편하다 하는 수준까지는 아니에요. 정 거슬리신다면 AR 필름을 따로 붙여서 사용하시는 걸 추천드리겠습니다.
스피커 & 웹캠: 의외로 탄탄한 구성
스피커
게이밍 노트북 중 평균 이상인 퀄리티입니다. 적당히 베이스 표현력도 있고 볼륨을 크게 올려도 특별히 소리가 찢어지거나 하지는 않더라구요. 게임용으로도 음악용으로도 모두 괜찮습니다.
웹캠
5MP에 QHD 영상까지 녹화할 수 있는데요. 보통 게이밍 노트북에 이런 웹캠은 예의상 퀄리티 낮은 거 대충 달아주는 경우가 많은데, 이건 제대로 화상회의 같은 업무용으로 사용해도 문제가 없겠더라구요.
아쉬운 점: 안면인식 IR 카메라도 없고 지문인식 센서도 없어서 생체인식 로그인이 안 된다는 점은 사용자에 따라 큰 단점으로 느껴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내부 구조 & 쿨링 시스템: 진짜 핵심!
리전 시리즈는 하판 여는 것도 항상 어렵지 않게 만들어주더라구요.
쿨링 시스템 구조
- 양쪽에 큼직한 쿨링팬 하나씩
- 날개가 엄청 촘촘한 편
- 크고 굵은 히트파이프 3-4개 방식 선호
- PTM 써멀 사용 (리퀴드가 아닌!)
쿨링팬의 바람은 대부분 히트싱크 쪽으로 다이렉트로 빠져나가는데요. 그 중 일부는 CPU와 GPU 위에 히트파이프 영역을 한번 식혀준 후에 후면 중앙 통풍구로 배출되는 구조입니다.
확장성
- RAM: DDR5 듀얼 슬롯 탈착 가능
- M.2 SSD: 슬롯 2개
- 무선 랜카드: 교체 가능
- 기본 SSD가 2242 길이이지만 2280도 호환
확장성도 상당히 좋습니다!
배터리 & 충전: 현실적인 사용 시간
80Wh 배터리가 달려있는데요. 용량이 적은 건 아니지만 워낙 고사양 시스템이라 배터리 지속시간이 길지는 않습니다.
배터리 지속시간 테스트
(사일런트 성능 모드, GPU 내장 그래픽만 사용, 화면 밝기 60%)
- FHD 영상 연속 재생: 약 6시간 35분
- 문서/인터넷 작업: 약 4시간 40분
급할 때 충전기 없이 잠깐 사용할 수 있다 정도지, 이런 고사양 헤비급 노트북에서는 배터리 지속시간에 큰 기대를 하시면 안 됩니다.
팁: 100W PD 충전기를 연결해서 쓸 수도 있는데요. 성능 하락도 심하고 고사양 게임이나 작업을 하면 배터리 드레인이 조금씩 생길 수 있거든요. 차라리 충전기를 추가로 구매해서 주로 사용하는 장소에 비치해두고 노트북만 따로 들고 다니는 패턴을 고려해보시는 게 좋지 않을까요?
성능 모드별 전력 관리: 이게 진짜 핵심!
리전 시리즈는 사일런트, 균형, 성능, 사용자 지정 이렇게 4가지 성능 모드가 있는데요.
최고 성능 모드에서의 전력 분배
- CPU와 GPU 동시 구동: CPU 60W + GPU 135W = 총 195W
- CPU 단독: 125W
- GPU 단독: 140W
이 정도면 RTX 5080처럼 175W를 요구하는 GPU를 감당하기에는 살짝 힘들겠지만, 5070 Ti까지는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발열 & 소음: 리전 프로 시리즈의 최대 장점
리전 프로 시리즈의 가장 큰 장점! 최대 성능 모드에서도 소음이나 발열이 실사용에 크게 불편함이 느껴지지 않는다는 거예요.
발열 테스트 결과
(CPU, GPU 100% 부하 30분 후 표면 온도)
- 방향키와 키보드 "O" 주변: 42-44도 (살짝 따뜻한 정도)
- 그 외 영역: 열감이 크게 느껴지지 않음
소음 레벨
- 성능 모드: 53dB (소음이 안 들리는 건 아니지만 노캔 헤드폰까지 써야 할 정도는 아님)
- 균형 모드: 45dB (게임 중 스피커 소리에 거의 묻히는 수준)
CPU 성능: 데스크탑 뺨치는 성능!
데스크탑 시장에서 인텔 애로우레이크 프로세서가 애매하다 소리를 듣기는 하지만, 노트북에서는 완전히 얘기가 다릅니다.
애로우레이크가 이전 세대보다 전력 효율이 크게 개선된 덕에 노트북에서는 성능 유지력이 꽤 좋아졌거든요.
벤치마크 점수
시네벤치 R24 기준
- 싱글코어: 136점
- 멀티코어: 2035점
최신 데스크탑 프로세서와 비교해도 싱글코어는 전혀 밀리지 않고, 멀티코어도 많아봐야 20% 정도밖에 차이가 안 나더라고요!
긱벤치 6에서도 전력 수준에 따른 점수 편차가 적다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게임이나 고사양 작업은 얘기가 다르겠지만, 일상적인 작업은 전력을 확 낮춰도 성능 차이가 크게 체감되지 않는다는 것도 이번 세대의 큰 장점인 것 같아요.
GPU 성능: RTX 5070 Ti의 진가
3DMark Time Spy 점수는 140W 상태에서 17,374점이 나와줍니다.
RTX 5080 노트북과 비교하면 점수 차이가 조금 난다 느껴질 수 있는데, RTX 5080을 140W로 동일한 전력에서 구동한 결과를 보면 거의 비슷하죠!
핵심 포인트: 조금 오버해서 보자면 RTX 5070 Ti는 140W로 전력 제한이 된 RTX 5080 취급을 해도 되는 거 아닌가요?
해외 자료들을 보면 RTX 5070은 오히려 RTX 5060에 가까운 성능인 것 같더라고요. 이런 이유들 때문에 요즘 노트북 커뮤니티에서 고사양 모델을 찾고 있는 사용자들이 RTX 5070 Ti를 가장 가성비가 좋다고 평가하는 것 같아요.
(물론 가성비가 좋다는 거지 절대적인 가격이 싸다는 건 아니라는 거 알고 계시죠?)
게임 성능: QHD 게이밍의 완전 정복
중저사양 게임
오버워치2 같은 중저사양 게임은 네이티브 해상도에 매우 높은 그래픽으로 200프레임 넘게 유지할 수 있고요.
AAA급 게임
어지간한 AAA급 게임도 레이트레이싱 정도만 포기하면 풀옵으로 평균 100프레임 이상 뽑아낼 수 있거든요.
DLSS4 MFG 기능의 위력
RTX 5000번대 그래픽에 추가된 DLSS4 MFG 기능을 사용하면 조금 더 높은 프레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MFG 기능까지 쓰면:
- 최신 AAA급 게임도 옵션 타협 없이 200프레임 넘게 유지
- 마블 라이벌즈나 디아블로4 같은 게임들은 300프레임 넘게 유지
이렇게 되면 고사양 AAA급 게임에서도 240Hz 디스플레이 주사율을 온전히 활용할 수 있게 되겠죠!
성능 모드 활용 팁
디스플레이 주사율이 240Hz밖에 안 되는데 300프레임 뽑는 게 무슨 의미냐 하실 수 있지만, 이러면 게임할 때 성능 모드를 균형으로 내려도 되잖아요!
그렇게 하면 소음과 발열이 적어진 상태로 플레이를 할 수 있겠죠. 오버워치 2 기준 성능 모드와 균형 모드에서의 프레임 편차가 20% 정도 나거든요.
MFG 기능의 단점과 대안
물론 MFG는 인공지능이 GPU의 작업을 보조해주는 방식이라서 응답 속도가 조금 늘어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개인적인 경험상:
- 대부분의 싱글 플레이 게임에서는 크게 신경 쓸 수준 아님
- 마블 라이벌즈 같이 정확한 조준이 중요한 게임에서는 MFG 4배 시 응답속도가 미세하게 느려진 게 체감됨
- MFG 2배 정도면 정밀한 조작이 필요한 게임도 크게 문제없음
작업 성능: 영상 편집도 완벽하게
고사양 게이밍 노트북은 작업용으로 쓰시는 분들도 있으시죠. 영상 편집 성능도 RTX 4000번대 노트북과 비교해서 크게 개선이 됐습니다.
VRAM 용량 업그레이드
- RTX 4070: 8GB VRAM
- RTX 5070 Ti: 12GB VRAM + GDDR7 메모리
작업 성능 개선점
PugetBench 프리미어 프로 점수만 봐도 생각보다 차이가 많이 납니다.
추가로 RTX 5000번대 GPU는 네이티브로 디코딩할 수 있는 동영상 코덱도 많아져서, 고스펙 미러리스 카메라로 Log나 RAW 촬영까지 하는 사용자라면 단순 스펙업 이상의 큰 업그레이드 체감이 느껴지실 것 같아요.
2025년 신형 CPU & GPU의 장점
개인적으로 2025년에 새로 출시된 CPU와 GPU는 데스크탑 PC보다는 노트북에서 더 큰 장점을 발휘한다고 생각합니다.
인텔 애로우레이크의 노트북 특화 장점
- 피크 성능 향상보다는 전력 효율 위주로 제품 개선
- 노트북의 물리적 전력 제한 문제 해결
RTX 5000 시리즈의 노트북 특화 장점
- 깡 성능 향상은 기대보다 많지 않았지만
- 벤치마크 점수만으로는 파악할 수 없는 개선점들이 많음
- DLSS4, MFG 기능으로 GPU 부하를 줄이면서 발열과 소음도 감소
최종 평가: 2025년 가성비 게이밍 노트북의 완성형
기존 리전 프로 5 시리즈가 안 그래도 발열과 소음 억제가 잘 되는 제품이었는데, 이런 신형 CPU와 GPU의 하드웨어적인 특성까지 더해지니까 뭔가 고사양 노트북에 특이점이 온 것 같은 느낌이 들더라고요.
특히 올해 신형 리전 프로 5는:
- 디스플레이 품질 우수
- 스피커 품질 평균 이상
- 키보드 타이핑 좋음
- 특별한 함정 카드 없음
이런 요소들 때문에 275HX 프로세서와 RTX 5070 Ti 그래픽 조합의 성능을 제대로 맛보기 좋은 구성이라고 생각합니다.
구매 추천 대상
이런 분들께 추천드려요:
- QHD 고주사율 게이밍을 즐기고 싶은 분
- 게임과 작업을 모두 하시는 분
- 발열과 소음에 민감한 분
- 확장성이 좋은 노트북을 원하는 분
- 특별히 모난 곳 없는 고사양 게이밍 노트북을 찾는 분
마무리: 올해의 가성비템!
특별히 모난 곳 없는 고사양 게이밍 노트북을 찾고 계시다면, 올해의 가성비템은 바로 레노버 리전 프로5 16IAX10입니다!
RTX 5070 Ti와 275HX의 조합, 여기에 리전 프로 시리즈의 검증된 쿨링 성능까지 더해진 이 조합은 2025년 게이밍 노트북 시장에서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 될 것 같아요.
300만원이라는 가격이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RTX 5080 노트북 대비 가성비를 생각하면 충분히 납득할 만한 가격이라고 생각합니다.
게이밍 노트북 구매를 고민 중이시라면, 꼭 한 번 고려해보시길 추천드려요!
※ 후원하기! 쿠팡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 받을 수 있지만 구매자에게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